반응형
윈도우에서 가상 메모리란 하드디스크나 SSD 같은 보조기억장치 영역의 일부 메모리를 사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가상 메모리를 늘린다고 해서 실제 메모리 공간이 늘어나지는 않으며
가상 메모리는 실제 메모리가 부족할 때만 사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실제 메모리의 용량이 충분하다면 잘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입니다.
하지만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일부 프로그램이 있기 때문에
가상 메모리 공간을 늘려놓게되면 해당 프로그램들을 사용하기에 조금 더 편리하죠.
오늘은 윈도우10 환경의 PC에서 가상 메모리를 늘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바탕화면의 시작메뉴 부분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시스템] 을 클릭해주세요.
해당 화면이 나타나면 오른쪽 관련 설정에서 [시스템 정보] 를 클릭해주세요.
시스템 팝업창이 나타나면 왼쪽의 목록들 중 [고급 시스템 설정] 을 선택합니다.
시스템 속성창이 나타나면 [고급] 텝의 성능에 있는 [설정] 을 클릭해주세요.
성능 옵션창이 나타나면 [고급] 텝에서 아래의 가상 메모리를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빨간 테두리 부분의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가상 메모리 설정 창이 나타나면 가장 윗부분의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의
체크박스를 해제해주세요.
그리고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사용자 지정 크기] 를 체크하여 처음 크기와 최대 크기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완성됩니다.
반응형
'tip > 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스토어 / 스토어팜] 소식알림 쿠폰 / 혜택 만들기 (고객혜택관리) (0) | 2020.08.13 |
---|---|
[스마트스토어 / 스토어팜] 개인 URL 연결하는 방법 (도메인 연결 / 가비아) (0) | 2020.08.12 |
[스마트스토어 / 스토어팜] 실시간 알림 설정하기 / 설정 방법 (0) | 2020.08.07 |
네이버 계정 프로필 사진 설정하기 / 변경하기 (0) | 2020.08.06 |
[윈도우10 / windows10] 날짜 데이터 형식 변경하기 (0) | 2020.08.05 |
댓글